본문 바로가기

공부법9

공부 잘하는 법 - 초등 때 교과서와 인강을 활용해서 공부 습관 만들기 공부의 핵심이자 기본은 교과서입니다. 공부를 잘하려면 교과서 공부가 습관화되어야 합니다. 역대 수능 고득점자들은 거의 다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습니다"라고 대답했어요. 이 말은 교과서만으로 공부했다는 뜻은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교과서를 위주로, 교과서를 중심에 두고 공부했다는 말일 것입니다. 사실 누구나 아는 이 사실은 비단 초등학교 얘기만은 아닙니다. 중·고등학교 때는 본격적으로 '시험'을 보게 되는데, 이 내신 시험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출제됩니다. 그러나 교과서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교과서 설명은 친절하지도 않으며, 내용이 함축적이기 때문인데요.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교 수업 시간에 집중을 잘 해야 합니다. 단순히 "학교 수업 내용을 잘 들어라"라는 말로는 부족합니다. 그럼 어떻게 .. 2025. 3. 18.
수학 심화 문제집을 학원에서만 푸는 경우, 아이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까? 수학 심화 문제집을 푸는 이유는 단순히 정답을 맞혀 그 문제집의 정답률을 높이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수학 심화 문제집을 풀면서 생각을 하게 해서 수학적 사고력을 하는 연습을 하기 위해서죠. 특히 초등 수학 심화 문제집은 더욱 그럴 것입니다. 중·고등학교 수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도가 낮아 사고력을 키우기에 딱이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학원에서 수학 심화 문제집을 다루는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학원에서는 아이들이 어려운 문제를 풀면서 깊이 사고하는 게 아니라, 정답을 맞히는 스킬을 익히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학원은 어쨌든 문제 풀이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정해진 커리큘럼이 있고 학부모님들한테 미리 공지한 진도 일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문제를 하나하나 고민하고 이런 방.. 2025. 3. 16.
초등 고학년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이유와 효과 아이들의 책에 대해서 얘기할 때 초등 고학년 학생들은 더 이상 그림책을 접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라고 추천하는 저에게  "그림책은 애기들이나 읽는 거 아니야?" 라고 반문하는 분들이 많았어요.  하지만 그림책은 단순히 어린이만을 위한 책이 아니에요.  특히 초등 고학년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데는 여러 효과가 있습니다.      1. 그림책은 깊이 있는 사고를 유도합니다   초등 고학년이 되면 복잡한 사고도 할 수 있어야 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하지만 요새 긴 줄글 책을 읽어내기 힘든 아이들이 많습니다.  이때 그림책은 아이들의 사고력을 자극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그림책은 텍스트와 그림이 어우러져 이야기를 .. 2025. 3. 15.
초등 단원평가, 점수보다 시험 준비 과정이 더 중요하다! 초등학교에서는 단원평가(단평)가 정기적으로 치러집니다. 하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단원평가는 그 난도가 낮아 공부를 따로 하지 않아도 100점을 받는 경우가 허다하죠. 그래서 많은 부모님이 단원평가를 별 것 아닌 시험으로 여기고 따로 공부를 안 시키시는데요. 하지만 저는 좀 다르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전 같은 100점이라도 어떻게 얻은 점수인지를 중요하게 보고 있어요. 시험공부를 하고 100점을 맞았을 때와 시험공부를 안 했는데도 100점을 맞았을 때를 전혀 다르게 보는 거죠.  초등학교에서 보는 거의 유일한 시험인 단원평가, 그 문제가 쉬운 만큼 오히려 시험 준비 과정을 제대로 경험하게 도와줘야 합니다. 그래야 정말 시험공부를 해야 하는 중·고등학교 때 당연하게 시험 준비를 할 테니까요.     단원평가.. 2025. 3. 14.
초등 공부,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는 힘 기르기'! 아이의 초등 공부를 어떻게 이끌어야 할까요? 많은 부모님들이 성적이나 선행 학습에 집중하지만, 저는 조금 다른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제 목표는 중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아이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인데요. 지금 성적이 오르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아이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을 찾고 공부 습관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초등 공부, 왜 '스스로 공부하는 힘'이 중요할까요? 초등학교 공부는 사실 부모님이 옆에서 도와주기 쉽습니다. 학습 난도가 쉽기 때문에 공부에서 손을 놓은 부모님들도 쉽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점점 고학년(5, 6학년)으로 갈수록, 그리고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가게 되면 학습량도 많아지고 난이도도 올라가죠. 그러면 점점 부모님이 도와주시기가 힘들 거예요... 2025. 3. 13.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 공부를 못하는 아이와 잘하는 아이 사이에는 단순히 노력의 차이만 있는 게 아닙니다.같은 공부를 해도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는지, 즉 학습 습관의 차이가 상당히 큰데요. 어찌 보면 사소한 차이가 장기적으로는 큰 학습 격차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공부 잘하는 아이와 못하는 아이의 특징을 비교해 보고, 어떻게 하면 학습 습관을 바꿔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울 수 있는지 방법도 제시해 볼게요! 공부 잘하는 아이와 공부 잘하는 아이의 특징 비교 & 해결방법 1. 오답 원인 분석 공부 못하는 아이의 특징공부 잘하는 아이의 특징오답 원인을 분석하지 않는다오답 원인을 분석한다단순 연산 실수가 반복되는 경우 오답 분석이 필요합니다. 사람마다 자주 실수하는 게 다른데, 아이가 자신만의 실수 패.. 2025.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