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초등 공부를 어떻게 이끌어야 할까요?
많은 부모님들이 성적이나 선행 학습에 집중하지만, 저는 조금 다른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제 목표는 중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아이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인데요.
지금 성적이 오르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아이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을 찾고 공부 습관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초등 공부, 왜 '스스로 공부하는 힘'이 중요할까요?
초등학교 공부는 사실 부모님이 옆에서 도와주기 쉽습니다. 학습 난도가 쉽기 때문에 공부에서 손을 놓은 부모님들도 쉽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점점 고학년(5, 6학년)으로 갈수록, 그리고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가게 되면 학습량도 많아지고 난이도도 올라가죠. 그러면 점점 부모님이 도와주시기가 힘들 거예요. (안 그러신 분들도 있겠지만 전 자신 없어요)
그렇다면 그때까지 스스로 공부하는 힘을 아이가 길러놓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그래서 학습 난이도가 낮은 시기에 공부하는 방법을 터득해놓으면 좋겠다 생각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공부를 시키나요?
X 선행학습은 하지 않는다
V 다양한 공부법을 시도하며 아이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다
1) 공부법 실험하기
- 무조건 문제집만 풀고 끝내는 게 아니라 개념 공부도 하면서 마인드맵도 그려보고, 자신이 이해한 내용에 대해 말로 설명하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학기마다 적용하고 있어요.
- 그리고 아이의 의견을 들어보면서 어떤 과목은 어떤 공부법이 나은지 고민하고 스스로 선택해서 공부해보게 유도합니다.
2) 완벽한 공부법이 아니라 '내 아이에게 맞는' 공부법을 찾기
- 아이마다 효과적인 공부법은 다 다를 거예요. 어떤 아이는 말로 설명하면서 이해를 하는 아이가 있고, 어떤 아이는 강의를 듣고 필기를 하는 방법이 더 맞을 수 있죠. 그래서 상대적으로 시간이 여유로운 초등 시기에 이런저런 방법으로 공부를 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아는 방법이 많아야 선택도 하고 판단도 할 수 있는 법이니까요.
- 정말 아이에게 좋은, 아이에게 효과적인 공부법을 찾으면 엄마도 품이 덜 들어가고 아이도 덜 힘들어합니다. 만약 지금 아이와 관계도 안 좋아지고, 아이도 공부할 때마다 힘들어한다면 공부법을 바꿔보시는 건 어떨까요?
3)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목표 세우기
- 처음부터 스스로 공부해보라고 하면 아이는 당황해합니다. 아는 공부법도 없고 자신의 수준도 모르는 상태에서 혼자 하기란 힘들어요.
- 여러 가지 공부법을 알려주고 직접 적용해 보면서 아이가 덜 힘들어하는 방법으로 찾아가다 보면, 나중에는 아이가 과목마다, 심지어 단원마다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을 스스로 적용하며 공부할 수 있게 됩니다. 처음에는 꼭 아이랑 함께하며 여러 공부법을 알려주셔야 해요.
- 그리고 매일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습관 또한 같이 가지고 가야 하는데요. 저는 공부의 양과 문제집 종류를 아이와 조율하여 정한 뒤, 초반에는 제가 주도적으로 세워주다가 점점 아이에게 세워보라고 넘기는 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초등 공부에서 중요한 건 자기주도학습 습관 들이기!!
초등 공부는 단순히 성적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 목표는 아이가 중·고등학교에 진학해서도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에요.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만 잘 갖춰져 있다면, 초등학생 때 선행을 하지 않아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을 찾으면, 어떤 과목이든 스스로 공부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것이 요즘 말하는 '자기주도학습'의 첫걸음 아닐까요?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고학년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이유와 효과 (0) | 2025.03.15 |
---|---|
초등 단원평가, 점수보다 시험 준비 과정이 더 중요하다! (0) | 2025.03.14 |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 (0) | 2025.03.12 |
초등 연산은 필수일까? 꼭 해야 한다면 효과적인 방법은? (0) | 2025.03.10 |
초등 한자 공부, 정말 필수일까? (0) | 2025.03.06 |